전체 글126 한국형 노마드를 위한 직업/수익모델 7가지 "디지털 노마드가 되는 건 어렵지 않다. 진짜 어려운 건, 지속 가능한 수익 구조를 만드는 일이다.” 많은 한국인들이 ‘자유롭게 떠나고 싶다’고 말하지만, 실제로 발걸음을 떼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수익 구조에 대한 불안이다.또, 떠나긴 했지만 수익이 끊기거나, 단발성 프리랜서 일로 노마드 라이프가 아니라 생존의 연속이 되는 경우도 허다하다.이 글에서는 한국인의 정체성과 역량을 바탕으로 안정성과 유연성을 모두 잡아 실현 가능한 7가지 수익 모델을 소개한다.No.1 – 웹사이트 빌더 & 웹 제작 대행 (Glide, Softr, Webflow 등)No-code 툴을 이용한 웹사이트 제작/운영 서비스는 현재 가장 뜨거운 블루오션 중 하나.특히 Glide, Softr, Webflow, Framer 등은 한국 .. 2025. 5. 26. 노마드 되기 전 준비 체크리스트 디지털 노마드는 "언제 어디서든 일하는 자유로운 삶"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철저히 준비된 이방인의 삶이다.단순히 노트북 하나 들고 공항으로 뛰어간다고 되는 게 아니다.막상 떠나고 나서 비자 문제, 수입 불안, 인터넷 불안정, 통장 문제, 멘탈 붕괴가 터지는 경우를 수도 없이 봐왔다.이 글은 단순한 “여행 준비”가 아니라, 지속 가능한 삶을 설계하기 위한 준비 체크리스트다.당신이 한국을 떠나기 전에 혼란 없이 노마드가 될 수 있도록 반드시 점검해야 할 현실적인 3가지 핵심 분야로 나눠서 정리해봤다.디지털 기반 인프라 구축 – "노트북 하나면 된다"는 착각 버리기디지털 노마드가 되기 위한 최소 기술 인프라 구성은 다음과 같다.1.필수 장비 및 소프트웨어고성능 노트북: 배터리 수명 8시간 이상, SSD 장착.. 2025. 5. 26. 한국인에게 가장 매력적인 디지털 노마드 도시 5곳 10년 동안 디지털 노마드로 살면서 나는 총 17개국 30개 도시를 거쳤다.그 과정에서 깨달은 건, "노마드에게 도시 선택은 단순한 여행지가 아니라 일터이자 생활터"라는 사실이다.특히 한국인으로서 고려할 요소는 더 많다. 치안, 물가, 비자 조건, 인터넷 속도는 물론,한국 음식을 구할 수 있는가? 시간대 차이가 클 때 업무에 문제가 없는가? 같은 아주 현실적인 요소들까지 말이다.이번 글에서는 그런 기준을 종합해, 지금 이 시점(2025년)에 가장 적합한 추천지 디지털 노마드 도시 5곳을 소개한다.도시를 고를 때 중요한 5가지 기준노마드 도시를 고를 때 내가 쓰는 기준은 크게 다음 다섯 가지다. 1.인터넷 인프라노마드의 생명은 와이파이다. 속도, 안정성, 카페/코워킹 스페이스 밀집도 포함.2.물가 대비 삶.. 2025. 5. 26. 한국형 노마드 라이프의 조건 전 세계를 무대로 일하고, 일터와 거주지가 분리된 삶.디지털 노마드(Digital Nomad)는 더 이상 낯선 단어가 아니다. 하지만 한국에서 이 단어를 꺼내면 아직도 현실과는 먼, ‘자유로운 사람들’의 이야기처럼 들릴 때가 많다.나는 2015년 첫 발리 체류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10년 가까이 디지털 노마드 생활을 이어오고 있다.오늘은 단순히 ‘이런 삶도 있다’는 소개를 넘어서, 한국인으로서 이 라이프스타일을 실제로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조건들을 이야기해보고자 한다.디지털 노마드, 단순한 여행자가 아니다디지털 노마드를 흔히 "여행하며 돈 버는 사람" 정도로 오해하곤 한다. 하지만 이 삶의 본질은 단순한 여행자 라이프가 아니다.핵심은 세 가지다:①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일할 수 있는 수입원,② 안정적인 생.. 2025. 5. 26. 글로벌 마켓에서 수출 자동화 루틴 구축하기 글로벌 마켓에서 가장 흔한 장벽은 ‘언어’다. 그다음은 ‘시간’이다. 하지만 두 가지 모두 ‘자동화’로 극복할 수 있다. 오늘날에는 수출을 처음 시작하는 개인 셀러도 사람 없이 돌아가는 루틴을 구축해 지속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핵심은 말하지 않아도 되는 구조, 대응하지 않아도 되는 흐름, 보내지 않아도 되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다. 이 글에서는 다음 세 가지 단계로 번역, 고객응대, 배송까지 자동으로 흐르게 만드는 글로벌 마켓 구조를 설계하는 방법을 소개한다.번역과 상품 설명: AI로 처리되는 다국어 상품 등록 루틴글로벌 마켓에 상품을 등록할 때 가장 먼저 부딪히는 벽이 ‘상품 설명’이다. 영어가 되지 않으면 아예 시작이 안 되는 경우도 많다. 하지만 실제로는 아래의 세 가지 툴만 있으면, 누구나 .. 2025. 5. 26. 한국어로 제작한 PDF 전자책을 글로벌에 파는 법 보통 전자책(eBook)을 수출한다고 하면 영어로 번역하는 것을 먼저 떠올리게 된다. 하지만 실제로는 언어가 아닌 ‘포맷’과 ‘디자인’에 집중된 PDF 콘텐츠는 굳이 번역 없이도 글로벌 시장에서 판매가 가능하다.특히 Etsy, Gumroad 같은 디지털 콘텐츠 마켓에서는 ‘실용적인 구조’와 ‘미적 디자인’을 중심으로 전자책을 구매하는 수요가 많다.이 글에서는 한국어 전자책을 글로벌에 판매하는 실전 전략을 Etsy, Gumroad를 활용하여 세 가지 관점에서 소개한다. 핵심은 "내용이 아닌, 형태로 설득하는 콘텐츠"를 만들고 파는 것이다.언어보다 중요한 건 포맷과 기능성: 전자책이 팔리는 구조 이해하기디지털 마켓에서 판매되는 PDF 전자책은 일반적인 텍스트 기반 도서와는 다르다. 판매량이 높은 상품은 다음.. 2025. 5. 26.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21 다음